Javascript 함수 function 출력 return

딱지씨 ㅣ 2022. 8. 29. 20:30

function란? 하나의 로직을 재실행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여준다.

 

:함수의 형식
function 함수명( [인자...[,인자]] ){
            return 반환값
}

 

- 함수는 function 뒤에 함수의 이름이 오고, 소괄호가 따라온다.

- 소괄호에 인자라는 값이 차례로 들어오는데 이 값은 함수를 호출할 때 함수의 로직으로 전달될 변수다.

- 인자는 생략 할 수 있다.

- 함수를 호출 했을 때 실행하게 될 부분이 중괄호 안쪽에 온다.

 

 

이 함수의 이름은 numbering이고, 내용은 0부터 9까지를 화면에 출력한다.

unmbering(); 함수는 호출 하나로 같은 로직의 코드를 여러번 실행할 수 있다.

ex) unmbering(); 

unmbering(); 

unmbering(); 

unmbering(); 

 

 

return

함수 내에서 사용한 return은 return 뒤에 따라오는 값을 함수의 결과로 반환한다. 동시에 함수를 종료시킨다.

 

아래 내용을 보자. 결과는 egoing과 k8805다.

function get_member1(){
    return 'egoing';
}
 
function get_member2(){
    return 'k8805';
}
 
alert(get_member1());
alert(get_member2());

 

 

인자란?

인자(argument)는 함수로 유입되는 입력 값을 의미하는데, 어떤 값을 인자로 전달하느냐에 따라서 함수가 반환하는 값이나 메소드의 동작방법을 다르게 할 수 있다.

 

다음 예를보자. 결과는 1,2이다.

function get_argument(arg){
    return arg;
}
 
alert(get_argument(1));
alert(get_argument(2));

5행의 get_argument(1)은 1행에서 3행 사이에 정의된 함수를 실행하는 구문이다.

5행의 1은 get_argument로 1이라는 값을 전달하겠다는 의미다.

이 때 1행에 정의된 (arg) 구문에 의해서 변수 arg의 값으로 숫자 1이 함수 안으로 전달된다.

이 변수 arg는 함수 get_argument 안에서만 유효하다. 

 

복수의 인자

그럼 여러개의 입력 값을 받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할까? 다음 예제를 보자. 결과는 30과 50이다.

function get_arguments(arg1, arg2){
    return arg1 + arg2
}
 
alert(get_arguments(10, 20));
alert(get_arguments(20, 30));

함수를 호출 할 때 전달한 인자 10과 20은 함수의 선언부(1행)의 arg1, arg2에 차례로 할당된다.

이렇게 전달된 값은 함수 내부로 전달되서 더해진 후에 반환된다.

 

 

 

자바스크립트는 함수를 정의하는 또 다른 방법을 제공한다. 아래 방법은 함수를 정의 하는 또 다른 방법이다.

var numbering = function (){
    i = 0;
    while(i < 10){
        document.write(i);
        i += 1;
    }   
}
numbering();

위의 내용은 이전 예제와 동일 하지만 함수를 정의 하는 방법을 달리한 것이다.